반응형
제육's 휘발성 코딩
반응형
[OS] - 메모리 관리 기법 (페이징 기법)
CS/운영체제 2022. 6. 5. 22:16

Paging 페이징이란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을 동일한 페이지 단위로 나누어 연속되지 않는 서로 다른 위치에 저장하는 물리적 메모리 관리 기법을 의미한다. 페이징 기법에서는 주소 바인딩을 위해 모든 프로세스가 각각의 주소 변환을 위한 페이지 테이블을 갖는다. 내부 단편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외부 단편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페이징 메모리 단편화 문제 (Memory Fragmentation) 메모리 단편화 문제란 물리적 메모리 공간이 나눠져서 메모리가 충분히 존재함에도 할당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페이징 기법은 논리적 주소와 물리적 주소가 같은 크기의 페이지로 나누기 때문에 외부 단편화의 문제는 없지만, 빈 공간이 남을 수 있어서 내부 단편화의 문제 가능성이 있다. Segmen..

[OS] - 프로세스와 쓰레드 정리
CS/운영체제 2022. 6. 5. 20:12

프로세스 프로세스란 실행파일로 존재하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여 CPU를 할당받아 실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프로그램이 프로세스가 아니라,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적재되었을 때가 프로세스이다. 작업관리자에서 보는 PID가 바로 프로세스 종류들이다. 메모리 적재 이유 메모리에 적재한다는 것은 디스크(하드디스크, SSD)에서 메모리(RAM)으로 옮겨 적재하는 것이다. 적재하는 이유는 CPU가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기억장치는 메모리이기 때문에 적재를 통해 CPU가 PC register를 통해 연산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메모리 공간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메모리 공간은 Code, Data, Stack, Heap 4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Stack : Compile 시점에 메모리 영역의 크기가 결정된다..

[Network] - Java TCP, UDP 통신
CS/네트워크 2021. 12. 11. 21:41

Java Network Echo Server ServerSocket (port) - waiting & accept()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와서 accept() 시 요청온 클라이언트용 소켓 추가 생성 송수신 버퍼 존재 Client Socket ( Socket -> ServerSocket 연결 요청) - socket(ip, port) 송수신 버퍼 존재 결과 Connected client : 127.0.0.1 : 49706 Client's msg : sdas Client's msg : null Connection is completed Welcome to Echo server!! Message : sdas Echoed Message : sdas Message : BYE Disconnect import java..

[Network] Network 계층 - 라우팅
CS/네트워크 2021. 10. 24. 15:08

Network 계층 패킷 (분할/조합) 전송 계층에서 만든 Segment를 패킷으로 만드는 (분할) 기능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만든 프레임을 패킷으로 만드는 (조합) 기능 혼잡제어 발생 원인 : 타임아웃 시간이 적을 때, 고백 N 기법, 흐름오류, 피기배킹 사용, TTL (TimeToLive) 혼잡 오류 : 송신과 수신 호스트가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망 안에서 많은 트래픽 발생하여 생기는 오류 라우터의 과부화로 인한 전송 지연 제어 방식 트래픽 성형 라우터가 혼잡오류를 처리하는 기법 송신 호스트가 전송하는 패킷의 발생 빈도가 네트워크에서 예측할 수 있는 전송률로 이루어지게 하는 기능 - bps 기준을 넘으면(ECN 패킷 - 주의 표시) 전부 버리고 재전송 ECN이 발생한 패킷은 특별 관리를 한다. 리키..

[Network] DataLink 계층
CS/네트워크 2021. 10. 24. 11:07

LLC 계층 Frame 화 (패킷 -> 프레임), frame 순서 제어, 오류, 흐름 제어 슬라이딩 윈도우 윈도우 : 한번에 작업할 갯수 흐름 오류(송수신 성능 차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 윈도우 크기가 1인 경우 stop-and-wait 방식 (하나 보내고 응답 기다리는 방식) 윈도우 크기가 2 이상인 경우 - pipelining 방식 선택적 재전송 :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만 재전송 (프레임 순서가 어긋난 후 다시 sort 기능 필요 + 수신 버퍼용량이 많아야 한다. (보관)) 고백 N :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 모든 프레임 재전송 (윈도우 사이즈만큼 처음부터) 처음 정해진 사이즈 만큼 전송해보다가 문제가 없어보이면 동적으로 점점 늘려간다. 피기배킹 I ( 자신이 전송하는 데이터의 순서번호 , 수신..

[Network] 데이터 전송 및 패리티 검사
CS/네트워크 2021. 10. 5. 22:30

데이터 전송 방식 전송과 교환 교환 : 라우터에서 데이터의 방향을 선택하는 기능 전송 : 1대1로 연결된 두 시스템 가느이 데이터 전송을 보장 전송 방식 종류 지리적 분류 : LAN (근거리 통신) , MAN (도시 규모), WAN (원거리) 데이터 전송,교환 분류 : 점대점(1대1 - 유니캐스트), 점대다 (1대다 -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등) 점대점 : 스타형, 링형, 완전형 , 불규칙형 브로드캐스팅 방식 : 버스형, 링형(1대1, 1대다 모두 지원) 버스형 : 토큰을 사용하거나(충돌 방지), 이더넷(충돌허용)으로 해결 링형 : 호스트를 순환 구조로 연결, 토큰 확보가 필수 프레임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전송 데이터를 프레임이라는 단위로 나누어 처리 내부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문자 프레임과 비트..

[Network] LAN, MAN, WAN
CS/네트워크 2021. 10. 5. 22:28

교환 (Switching) 회선 교환 : 전화 연결 - 교환기를 통해서 회선을 연결 (연결형 서비스) 패킷 교환 : 패킷을 통해 회선 연결 가상 회선 : 연결형 통신 - 호스트 간 미리 연결 - 패킷 전달 경로(라우터)가 결정 - 순서 보장 데이터그램 : 비연결형 통신 - 패킷 마다 경로가 다르다. (상황에 따라 라우터가 판단) - 순서 보장X , 데이터 손실 가능성 지터 : 각 패킷의 지연 시간 분포 - 도착 시간이 가변적이기 때문에 지터를 통해 품질성 확인 프레임 릴레이 : 장비의 개선으로 기존의 라우터별 응답이 필요했지만 수신 호스트에서만 응답을 보내는 방식 셀 릴레이 :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의 장점을 모은 방식으로 셀이라는 고정 크기의 패킷을 사용 LAN, MAN, WAN LAN : 소규모 지역..

[Network] 네트워크 용어 정리
CS/네트워크 2021. 9. 14. 16:41

네트워크 기초 용어 시스템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 (노드, 호스트, 클라이언트, 서버 등) 컴퓨터, 자동차, 자판기, 운영체제, 프로세스 등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전송 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격 RS-232C, USB 등 전송매체 시스템끼리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 전송 수단 프로토콜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의 임의의 통신 규칙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집합 인터넷 (IP) 전세계의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 네트워크 표준화 서로 다른 시스템이 상호 연동해 동작하기 위한 통일된 연동 방식 네트워크 프로토콜 ISO의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 (명세서, 스펙) 응용 - 응용..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