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육's 휘발성 코딩
반응형

Network 계층

패킷 (분할/조합)

  • 전송 계층에서 만든 Segment를 패킷으로 만드는 (분할) 기능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만든 프레임을 패킷으로 만드는 (조합) 기능

혼잡제어

  • 발생 원인 : 타임아웃 시간이 적을 때, 고백 N 기법, 흐름오류, 피기배킹 사용, TTL (TimeToLive)
  • 혼잡 오류 : 송신과 수신 호스트가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망 안에서 많은 트래픽 발생하여 생기는 오류
  • 라우터의 과부화로 인한 전송 지연 제어 방식

트래픽 성형

  • 라우터가 혼잡오류를 처리하는 기법
  • 송신 호스트가 전송하는 패킷의 발생 빈도가 네트워크에서 예측할 수 있는 전송률로 이루어지게 하는 기능 - bps 기준을 넘으면(ECN 패킷 - 주의 표시) 전부 버리고 재전송
  • ECN이 발생한 패킷은 특별 관리를 한다.
  • 리키버킷 알고리즘 : 버릴 데이터를 버퍼에 보관했다가 줄어드는 시간에 같이 재전송

라우팅

  • 목적지 호스트까지 갈 수 있는 패킷 전달 경로 제공
  • 전송계층에서 정해진 TCP / UDP 에따라 연결형 (TCP)이면 가상회선, 비연결형 (UDP)이면 데이터그램 제공
  • 라우팅을 하기 위한 라우팅 테이블이 존재
  • 정적 라우팅 : 라우터가 미리 저장하여 중개 (혼잡 대처 부족 - 소규모 네트워크 적절)
  • 동적 라우팅 : 라우터가 서로 정보를 수집하여 정보를 개선 (성능 저하)
  • AS : Autonomous System (자율 시스템) - 단일 네트워크
    • 내부 라우팅(IGP) : AS 안에서 동작 - 거리 벡터(RIP), 링크 상태 라우팅(OSPF)
      • 정적 라우팅
      • 동적 라우팅 : 거리 벡터(RIP, EIGRP), 링크 상태 벡터 (OSPF, IS-IS)
    • 외부 라우팅(EGP) : AS 사이에 동작
  • HELLO / ECHO 패킷
    • HELLO : 주변 경로 정보 파악하는 용도
    • ECHO : 라우터 사이의 전송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용도

라우팅 테이블

  • 패킷 전송 과정에서 라우터들이 경로를 찾을 수 있도록 사용하는 도구
  • 목적지 호스트와 홉수가 저장되어 있다. (홉수는 거리)

거리 벡터 - RIP

  • 라우터와 연결된 이웃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 정보를 보관
  • Routing By Rumer : R1은 인접한 라우터한테서만 정보를 들을 뿐, 이후 라우터 정보는 루머로만 안다.
  • 30초 마다 라우터들이 정보를 주고 받는다.
  •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 많이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링크 상태 - OSPF

  • 거리 벡터 이후에 나온 상위 프로토콜
  • 모든 라우터가 LinkStateDatabase를 갖고 있는다. (각 라우터별 거리 정보)
  • LSA : 업데이트 정보가 들어있는 패킷 - 새로운 정보가 생기면 LSA를 전체 라우터에 전송
  • Flooding : LSA 패킷을 전부 전파하는 기법

IP 헤더

image

  • IP 패킷 (IP 헤더 + Payload)
  • 비연결 서비스 제공 (UDP)
  • ECN : 혼잡을 알려주는 용도의 패킷
  • 두 번째 줄 : 패킷 분할 과정
    • Identification : 구분자
    • DF : 패킷이 분할되지 않도록 지정
    • MF : 뒤에 분할된 패킷이 계속되면 1로 지정 , 마지막 패킷은 0
    • FO : 분할 전 데이터에서의 상대 주소값
  • 세 번째 줄
    • TTL (TimeToLive) : 최적의 경로의 total 거리 (거리의 모든 홉 수)
    • Transport : UDP(17), TCP(6), ICMP(1) 주 어느 패킷인지 구별
    • HeaderChecksum : 헤더에 대한 에러 확인
  • Source : 송신 호스트의 IP, Destination : 목적지 호스트 IP

IP 패킷 분할

image

  • 총 전송 데이터 크기가 380바이트라면
    • 하나의 패킷은 128바이트 (20바이트 헤더, 108바이트 데이터)
    • 하지만, 8BYTE 단위로 값을 넣어야되는 것이 규칙 (20바이트 헤더 , 104바이트 데이터, 4바이트 빈 공간)
    • 104의 FragmentOffset은 8x13인 13이 된다.

IP 터널

  • 사용자의 데이터를 가상 서버에서 받은 후 실제 서버로 전송하는 기법
  • VPN과 같이 가상 사설망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 한다.
  • IP 터널링 : 무선 호스트가 움직일 때 FA(포린 에이전트)로 부터 COA(Care Of Address)를 얻는다.
    • COA : 가상 IP
    • FA : 새로운 위치를 연결
    • HA (홈에이전트) : 사용자가 받은 COA를 HA에서 받고 전달해준다.
반응형
profile

제육's 휘발성 코딩

@sasca37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 맞구독은 언제나 환영입니다^^